3번째 경제 용어 정리입니다. 오늘은 인플레이션의 뜻과 인플레이션 종류에 대한 설명을 이해하기 쉽고 간단하게 정리하려고 합니다.
본론으로 들어가겠습니다.
경제용어정리 part.3(인플레이션이란?)
통화량의 증가로 화폐의 가치는 똥이 되고 지속적인 물가 상승으로 이어지는 상황이라고 보시면 편하십니다.
쉽게 이야기해서 양적완화로 돈이 많이 풀리니 많이 풀리는 돈의 가치는 떨어지게 되고 그만큼 돈으로 구매하는 상품들은 올라간다.라고 할 수 있겠네요. 이러한 인플레이션은 굉장히 중요한 지표가 되고 인플레이션의 다양한 종류와 인플레이션의 효과? 파장 등은 엄청 날 수 있다는 겁니다. 우리는 경제 어린이라고 가정을 하였을 때, 이 정도 뜻은 알고 있어라 라는 뜻으로 쉽게 아주 간단하게 어려운 것을 빼고 알려드리겠습니다.(직접 공부하시면 정말 많을 겁니다.) 그럼 인플레이션의 간단한 뜻은 알았으니 인플레이션의 예시를 들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미국과 각국 세계들은 코로나라는 바이러스로 인해 실물경제의 타격을 받게된다.
- 그로 인해 정책을 펼치는데 이것이 바로 통화정책 "양적완화"
- 막대한 통화량의 증가로 인하여 시장경제의 활력(?)(실질적으로 개선상황이..)을 불어넣는 동시에 화폐의 가치 하락으로 물가가 상승하는 뜨거운 맛을 보게 된다.(인플레이션)
- 물가뿐만 아니라 실물자산의 폭등도 이러한 형태이다.(인플레이션)
- 반대의 의미인 "디플레이션"은 인플레이션의 반대 상황으로 쉽게 실물자산 원자재 가격 등이 하락을 의미한다.
인플레이션이 일어나게 되면 다음 시나리오는?
간단합니다. 인플레이션이 되었으면 정부는 이것을 가만히 나둘까요? 오르는 물가에 경제 상황은 더악화될 것이고, 낮은 금리 유지와 높은 인플레이션은 주식시장 버블과 부동산 버블을 높이는 것이며, 너도 나도 대출을 하여, 투자하게 될 것이죠. 서로 물건 값이 비싸지기 전에 사재기를 하는 것처럼 말이죠. 그렇게 되면? 결과는 이렇게 도출될 수 있다고 봅니다.
- 너무나도 막대한 양적완화
- 회생불가의 실물경제의 타격
- 이자를 갚을 수 없는 능력에 과한 인플레이션
- 높은 인플레이션을 통한 빈부격차
- 어쩔 수 없는 테이퍼링의 결과
- 가파른 금리인상 시도
- 실물경제의 심한 타격
이렇게 되겠지요. 간단합니다. 시장경제가 버텨주면 아주 이상적이지만, 현시점을 그렇지 못합니다. 여러분들의 밥상물가, 전기세, 버스비, 모든 가격이 오르기사작합니다. 월급은 그대로인데 물가도 오르고 심지어 장사나 구조조정에 의해 미취업, 기업들의 비고용.. 네 이러한 상황이지요. 과연 대출에 이자 금리가 오르게 되면 감당하실까요?
자 그럼 인플레이션의 종류를 보도록 하지요. 원래 인플레이션의 여러 종류가 있고 전부 나쁘다는 것이 아닙니다. 위의 말은 아주 쉽게 설명하려고.. 크게 크게 본 것이고 여러 가지의 종류들이 있습니다. 보시죠~
인플레이션의 종류는?
- 수요 견인 인플레이션 : 말 그대로 수요> 공급입니다. 이러한 것은 사고 싶은 물건은 많은데 공급이 못 따라가서 자연스럽게 오른 인플레이션입니다. 공급만 해결되면 또 자연스럽게 해결될 인플레이션입니다.
- 비용 인상 인플레이션 : 이것또한 수요> 공급이긴하나, 수요견인 인플레이션은 수요가 늘어나므로 일어나는 현상이며, 비용인상 인플레이션은 수요는 그래도 인데 공급의 영향을 받아 공급이 줄어 수요>공급 현상이 일어나는 것입니다.
- 내제 인플레이션 : 물가가 오른다고 생각되면 임금도 오르게 되어있습니다. 임금이 오르면 물건의 값이 오르게 되며, 이러한 임금과 물가의 관계가 지속되면 임금 물가상승곡선이 나타나게 되는데 이를 내제 인플레이션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또한 인플레이션의 심각도? 에 따라 나누어지기도 합니다. 들어 보셨겠지만 하이퍼 인플레이션 초하이퍼 인플레이션 등등이 있습니다. 나머지는 직접 찾아보면서 공부하시면 보는 눈을 더 넓힐수 있겠네요.
끝을 마치며, 저도 블로그를 하면서 다시 경제공부를 하는데 요즘 세상 너무 정보가 잘 돼있는 거 같아서 좋습니다.
서점에 가지 않아도 검색으로 돈을 지불하지 않아도 알 수 있는 정보들이 많으니 남는 시간 게임, 영상 시청을 조금 줄이시고 경제 뉴스 같은 걸 보는 것을 추천드릴게요~
'돈나무형이 바라보는 현상황 > 간단한 경제용어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용어 정리 part.4(스태그플레이션이란?) (0) | 2021.10.01 |
---|---|
경제용어정리 part.2 (테이퍼링이란? 테이퍼링의 예시) (0) | 2021.09.29 |
경제용어정리 part.1(양적완화란?,양적완화의 예시) (0) | 2021.09.28 |
댓글